96. 서자평(徐子平)의『명통부(明通賦)』에 함축된 신법명리(新法命理) 체계와 특징
김만태·김면수 │ 한양대학교 미래문화연구소 | 미래문화 제7호 | 2023.07 

95. 음양오행과 천지인 삼원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 연구: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나윤경·김만태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동방문화와 사상 제13집 | 2022.12

94.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에 관한 연구 
우연화·김만태 │ 대순사상학술원 | 대순사상논총 제42집 | 2022.09

93. 연극연출가 사주(四柱)의 명리학적 특성
이영은·김만태 │ 바른역사학술원 │ 역사와 융합 제6권 제3호 │ 2022.09 

92. 내담시(來談時) 연월일시주(年月日時柱)와 분주(分柱)의 결합에 관한 연구 
이흥신·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95호 | 2022.07

91. 명리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분류 설정을 중심으로 
김만태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지식융합 제5권 1호 | 2022.06

90. 연극인 사주(四柱)의 명리학적 특성: 연극배우를 중심으로 
이영은·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94호 | 2022.06

89. 초등학교 저학년 진로·흥미 탐색과 명리학의 상관성 연구 
나윤경·김만태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동양문화연구 제36집 | 2022.05

88. 국가고시(5급) 출신 공무원과『적천수천미』에 수록된 과거급제자의 사주 특성 고찰 
황순덕·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92호 | 2022.04

87. 한글에 함축된 음양 배속, 오행 상생, 천지인 삼원 사상 고찰 
김만태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한국민족문화 제81집 | 20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