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사주의 특징
① 일간(日干)이 뿌리가 있고, 재성(財星)도 뿌리가 있고,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도 힘이 있으면서 재성과 잘 통하는 경우이다. 중간 부자(수십억)이다.
② ①에 더하여 관성(官星)도 있어서 재성을 잘 지켜주는 경우이다. 큰 부자(수백억)이다.
③ 일간이 뿌리가 있으면서 재성도 왕성하고, 관성도 힘이 있는 경우이다. 재물과 사회적 명예, 부귀(富貴)를 함께 가진다.
壬 戊 戊 庚
子 申 寅 戌
운(運)과 관계없이 큰 부자 사주
庚 甲 壬 壬
午 寅 寅 寅
운에서 조건을 갖추어 큰 부자가 된 사주
庚 壬 己 庚
子 寅 卯 子
운은 안 좋으나 성실하게 노력해서 보통 재물로 사는 여자
가난한 사람의 사주 특징
부자 사주의 ①②③ 요건을 갖추지 못할수록 가난한 사람이다.
甲 乙 甲 戊
申 亥 子 寅
공부는 많이 했으나 가난한 사주
辛 壬 壬 庚
丑 子×午 申
운이 좋을 때는 돈을 벌었으나 사기를 당해 파산한 사주
☞ 빨간색 글자가 재물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가난해질수록 빨간색 재물의 상태가 고립되어 간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7가지 특징
흔한 말로 ‘사람은 두 다리, 돈은 네 다리’라서 사람이 돈을 쫓아가면 돈을 잡을 수가 없고, 돈이 사람에게 오도록 해야한다고 하는데 바로 돈의 속성이다.
가난한 어부는 열심히 물고기를 잡고, 부자는 어부가 열심히 잡아놓은 물고기를 중간에 유통한다. 가난한 사람은 계속 열심히 일만 하지만 부자는 열심히 일한 것을 잘 이용한다.
열심히만 살면 안 된다. 전략적으로 살아야 한다. 자산관리와 재테크 측면에서 이야기하자면 열심히만 살아서는 절대 부자가 될 수 없다. 왜냐하면 근로 소득의 증가 속도가 자산 가치의 증가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이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는 바로 사고와 습관의 차이(♣ 타고난 사주의 특성 차이)에서 비롯된다.
첫째, 부자들은 자본 소득을 만든다.
근로 소득은 한계가 있다. 근로 소득을 기반으로 먼저 자신의 기본 자산(종잣돈)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점차 자본 소득을 만들어 간다.
둘째, 부자들은 욕망 지출을 하지 않는다.
부자는 불필요한 지출을 하지 않는다. 남에게 보이는 걸 신경 쓰지 않는다. 과시하지 않는다.
셋째, 부자들은 저축과 투자를 구별할 줄 안다.
저축은 원금 손실이 없다. 투자는 종잣돈이 있어야 한다. 저축을 통해 종잣돈을 만든 다음 투자를 해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돈을 만들어 온다.
넷째, 부자들은 사냥꾼의 기질을 갖고 있다.
돈을 벌지 못하는 사람들은 농사꾼의 기질을 갖고 있다. 농사꾼은 그냥 성실하기만 하다. 사냥꾼은 길목에서 기회를 기다리다가 목표물을 포착하고 잡는다.
다섯째, 부자들은 항상 돈 공부를 한다.
부자는 경제 신문을 보고 가난한 자는 스포츠 연예 신문을 본다. 부자는 책을 보고 가난한 자는 TV를 본다.
여섯째, 부자들은 멀리 내다본다.
가난한 자는 눈앞의 일만 생각하고 쉽게 포기한다. 부자는 어떤 어려움이 닥쳐와도 인내하고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어 조금씩 나아간다.
일곱째, 부자들은 깔끔하며 정리정돈한다.
부자는 쓸데없는 것들을 치워버리고 가난한 자는 미루고 미루어 쓸데없는 것들에 치이며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