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정선명리학강론』출간
2022.02.22 13:08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7,637  

김만태

지식의 통섭

2022년 3월 2일

979-11-977574-0-2 93180

46배판(188*257), 535쪽


교보문고알라딘 등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정선명리학강론.png

2009년 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에 명리학 강의를 맡게 되면서부터 1장씩 적었던 강의자료들이 계속 모이고, 2013년부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에서 명리학 강의와 논문 지도를 하면서 명리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어서, 『명리학강론』 이름으로 그간의 연구자료와 강의자료들을 정리해서 묶고, 내용을 계속 수정 보완하면서 대학원 강의교재로 활용하고 있는 책이다.

그래서 명리학의 입문자들에게는 이해하기가 어렵고, 명리학을 공부해온 분들에게도 생소한 내용들이 있다. 하지만 ① 명리 원전(原典)의 현대적 재해석 ② 사주명리의 실제적 적용 ③ 명리학의 학술적 정체성 확립, 이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명리학에 대한 보다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단행본으로 펴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발간하게 되었다.


머리말 5

저자 소개 6

목 차 9


1. 사주명리의 개요 17

2. 사주명리에 대한 인식 전환 필요성 18


제1장. 둘 다섯의 조화 ― 음양과 오행 23

1. 음양 25

2. 오행 31

한글 자모음의 음양오행 40

순음(ㅁㅂㅍ)과 후음(ㅇㅎ)의 오행 분별 47

3. 오행의 상생ㆍ상극 49

(1) 오행의 상생 50

(2) 오행의 상극 52

(3) 오행의 반(反)상생ㆍ상극 53


제2장. 하늘과 땅의 부호 ― 천간과 지지 55

1. 천간과 지지의 기원 57

태음태양력의 24절기와 윤달 66

2. 천간 70

3. 지지 98

십간ㆍ십이지의 한국으로 전래와 정착 112

4. 육십갑자 116

육십갑자의 물상(物相) 118

5. 지장간 129

월률분야에 관한 『명리약언』의 관점 135

월령과 오행 연관의 명리학적 의미 136


제3장. 천간(天干)의 월별 희기(喜忌) 정리 147


제4장. 사주명리학의 유래와 전개 169

1. 사주명리학의 기원 171

2. 고법(古法)명리와 신법(新法)명리 179

자평명리학에서 자평(子平)의 의미 185

3. 사주명리학의 전개 187

(1) 고법명리학의 태동 188

(2) 신법(자평)명리학의 유래 199

4. 조선조의 명과학(命課學) 제도 217

5. 현대 한국 사주명리학의 형성 221

한국 사주명리학의 향후 과제와 전망 225


제5장. 사주와 운로 231

1. 사주 조직 233

며칠부터 '황금돼지해'인가? 241

2. 시간 적용에 관한 문제 243

표준시 변경과 서머타임 시행의 경과 251

3. 대운ㆍ소운 253


제6장. 사주명리의 꽃 ― 육신ㆍ십성 263

왕상사수휴(旺相死囚休) 268

각 육신의 생극 관계 용어 272

정기신(精氣神)론의 명리학적 적용 274

육신의 기본ㆍ정편(正偏) 특성 283

1. 비견 ― 독립ㆍ주관ㆍ자아ㆍ고집ㆍ배짱ㆍ주체성 286

2. 겁재 ― 승부ㆍ교만ㆍ경쟁ㆍ파재ㆍ분리ㆍ적극성 287

3. 식신 ― 풍요ㆍ연구ㆍ순수ㆍ생산ㆍ낙천ㆍ재테크 289

4. 상관 ― 재치ㆍ언변ㆍ다재ㆍ다능ㆍ응용ㆍ재테크 290

5. 편재 ― 투기ㆍ유통ㆍ역마ㆍ과감ㆍ활동ㆍ사교성 291

6. 정재 ― 저축ㆍ근면ㆍ성실ㆍ정확ㆍ꼼꼼ㆍ책임감 292

7. 편관 ― 강제ㆍ개혁ㆍ투쟁ㆍ희생ㆍ인내ㆍ권력성 293

8. 정관 ― 도덕ㆍ보수ㆍ명예ㆍ인격ㆍ원칙ㆍ합리성 295

9. 편인 ― 의심ㆍ직관ㆍ영감ㆍ장인ㆍ외곬ㆍ고독성 296

10. 정인 ― 자애ㆍ육영ㆍ학문ㆍ문서ㆍ계획ㆍ자격증 297

10가지 성격 요소: 십성(十星)의 특성 299

육신의 길흉운 300


제7장. 천간ㆍ지지의 상호작용 관계 303

1. 천간합의 구성 원리 305

(1) 천간합 308

(2) 천간충 309

천간합과 오방색 311

2. 지지합ㆍ충ㆍ형ㆍ파ㆍ해ㆍ원진 313

(1) 지지삼합 313

(2) 지지방합 315

(3) 지지육합 316

(4) 지지충 318

육기(六氣)와 지지충 322

(5) 지지형 326

(6) 파ㆍ해ㆍ원진 328


제8장. 십이운성ㆍ공망ㆍ신살 331

1. 십이운성 333

십이운성의 운행과 적용에 관한 문헌 검토 341

『자평진전』의 십이운성론 342

십이운성과 육신의 참고자료 344

2. 공망 346

3. 신살 356


제9장. 격국과 용신 373

1. 격국과 용신의 개요 375

2. 격국과 용신을 살피는 이유 380

3. 사주 강약의 구분 기준 383

4. 억부용신과 조후용신 388

5. 격국을 정하는 기준 393

6. 『자평진전』의 격국과 격국용신 398

7. 격국용신의 취용 400


제10장. 격국의 종류 403

1. 식신격 405

2. 상관격 413

3. 정재격 420

4. 편재격 425

5. 정관격 429

6. 편관격(칠살격) 433

7. 정인격 435

8. 편인격(도식격) 438

9. 건록격(비견격), 양인격ㆍ음인격(겁재격) 441

10. 종격(從格) 445

11. 화격(化格) 449


제11장. 사주 간명 방법 451

1. 사주 간명의 순서 453

2. 사주 간명시 참고사항 466

3. 쌍생아(雙生兒)ㆍ동일사주 간명법 473

오행과 질병 486

오행의 전공과 직업 491


제12장. 운명론 관련 읽을거리 495

산으로 돌아가는 중[僧] 해안(海眼)을 전송한 글 497

허균과 소설 속 홍길동의 명리학적 연관성 500

월정만필(月汀漫筆) 507

천문(天文)과 복서(卜筮)의 오류에 대해 논의하다 508

과로도기도(果老倒騎圖) 509

인정승천(人定勝天) 510

운명(運命)의 세 종류 511

사주와 운명론 그리고 과학 513

카오스(Chaos): 혼돈 속의 질서 518

프랙탈(Fractal): 혼돈 속의 놀라움 522

후천팔괘와 구궁(九宮) 525


참고문헌 527

그림 출처 532

주요 색인어 533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1.png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